초보자 리니지 서버 구축 방법
컨텐츠 정보
- 18,955 조회
- 17 댓글
- 2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1. 일단 기초 3종 세트를 다운 받습니다.
(리니지 연구소 - 쌩초보님 계정인것 같은데 감사 댓글은 꼭 달아 줍시다)
프리서버 초기에는 거의 대부분이 깡통팩이라서 이클립스 사용이 무조건이었으나,
최근에는 완성도 높은 수정 팩들이 많기에 이클립스는 기초 3종에서 제외합니다.
물론 자기 방식대로 자바 소스를 수정 하실 분들은 이클립스를 추가로 설치 하셔야 합니다.
2. 기초 3종 세트를 설치 합니다.
설치법은 아래 블로그에 나와 있으니 보고 따라 하시면 됩니다.
자바
https://m.blog.naver.com/coolman_4879/220215314050
mysql
https://m.blog.naver.com/coolman_4879/220216189579
나비캣
https://m.blog.naver.com/coolman_4879/220216961278
기초 3종 중에서 자바와 mysql은 전문가가 아니면 다룰 일이 없으니 단순 설치만 하시면 됩니다.
3. 서버 세팅을 설정 및 확인 합니다.
2.0팩 기준
팩 폴더안에 파일명 mysql(확장자는 conf)을 메모장으로 엽니다.
예)
driver = com.mysql.jdbc.Driver
url = jdbc:mysql://localhost:3306/lin0024?useUnicode=true&characterEncoding=utf8
id = root <--나비캣 사용자명
pw = 0000 <-- 나비캣 설정 비번
1)url
상기 소스에서 url부분 중에 ?useUnicode 앞에 있는 "lin0024" 이 구문이 살실상 실제 url입니다.
대부분의 초보 분들이 여기서 실수를 많이 하시는데
팩 소스안의 url, 즉 주소는 lin0024로 되어 있는데 나비캣에서 DB명을
자신이 인지하기 편한 이름으로 바꿀 경우 서버가 가동 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같게 하셔야 합니다.
반대로, 소스에서 자신이 인지하기 편한 이름으로 바꿨다면
나비캣에서도 동일 이름으로 DB를 만들어서 연결 하시면 됩니다.
예) url = jdbc:mysql://localhost:3306/korea?useUnicode=true&characterEncoding=utf8
나비캣 데이터베이스명 = korea
2) id 와 pw
아이디는 나비캣 사용자명과 동일하게 설정 하시면 됩니다.
거의 모든 팩이 아이디는 root로 설정 되어 있습니다.
근데 간혹 나비캣을 설치하시는 분들이 자신의 사용자명을 root가 아닌 개인 아이디로 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만약 나비캣 설정 아이디가 korea라고 되어 있다면 해당 id 부분도 korea로 바꿔주시면 됩니다.
비번 역시 나비캣 설정과 동일하게 바꿔 주시면 됩니다.
비번이 없는 경우는 공란으로 비워 두시면 됩니다.
mysql의 소스 수정이 끝났다면 저장 후에 창을 닫고 이번에는 socket 파일을 엽니다.
예)
port = 2122 <--접속기와 동일해야 할 포트 코드
print_packet = false
상기 소스에서 기억하거나 수정할 부분은 port 코드 입니다.
이 소스는 게임에 접속시 적용되는 코드이니 자신이 기억할만한 코드로 바꾸거나
반드시 기억 해야할 코드입니다.
3.80팩과 리마스터 거울전쟁 팩 또는 그 이전 팩 중 대부분은
팩 폴더/config폴더 안에 server(확장자는 properties) 파일에서 확인 및 수정이 가능 합니다.
그리고 2.0 팩과는 달리 포트를 확인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socket 파일이 별도로 존재하지 않고
server 파일 소스에 포함 되어 있으니 port code는 해당 파일에서 수정하거나 확인 하시면 됩니다.
예)
#싱글, 멀티 모두 디폴트인 채(변경 불요)
# Bind ip of the gameserver, use * to bind on all available IPs
GameServerName=
GameserverPort=5000 <--포트코드
#Login와 Password는 변경해야 하지만, 모르면 바꾸지 않는다
# Database info
Driver=com.mysql.jdbc.Driver
URL=jdbc:mysql://localhost/re2222?useUnicode=true&characterEncoding=euckr
Login=root
Password=
4. 나비캣에 DB를 연결 합니다.
DB연결 방법
https://m.blog.naver.com/coolman_4879/220218219968
※ 간혹 db폴더 안에 db파일이 없다고 하시는 분들 계시던데 백업으로 저장된 팩인 경우,
보편적으로 포함된 sql파일이 아닌 psc파일로 저장되어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나비캣 테이블 메뉴 하단에 보시면 "백업" 메뉴가 있습니다.
해당 테이블 클릭 -> 상단 메뉴에 "백업 복구하기" 클릭 하셔서 실행 하시면 됩니다.
5. 팩 폴더 안의 서버스타트를 실행 합니다.
여기 까지가 서버 구축의 기본 단계였습니다.
접속과 관련해서는 접속기마다 방식이 다르고
버전마다 또 다르기에 이 글에서는 생략토록 하겠습니다.
-
등록일 2024.05.06게임존 폐쇄 된건가요?댓글 6
-
등록일 2024.02.23초보자 리니지 서버 구축 방법댓글 17
-
등록일 2024.02.22파트너 자료실에 장사꾼들 보세요.댓글 11
-
등록일 2024.01.17신규 가입자나 초보 운영자 분들께 알립니다.댓글 30